에이치앤비디자인 - 모바일 액세서리 전문업체

시초 갭 16프로 띄우고 2분 안에 27프로까지 상승했다가 3분에 다시 17프로로 내려옴.
첫 일분봉 거래량 약 14만주
9시 14분에 상한가 안착

<오전에 종목 관련 뉴스>

장 개시 8분전 머니투데이 뉴스가 있었음.
Key word : 관리종목 지정 사유 해소

<내용>
에이치앤비디자인이 건강기능식품 사업 확장과 마케팅 역량 강화를 위해 연내 유상증자를 결의하고, 관리종목 지정 사유 해소로 주주가치 제고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발행 주식 수는 총 540만 주, 예정 발행가는 주당 8300원이다. 모집 총액은 약 448억 원이다.

코스닥시장 상장 규정에 따르면 최근 3사업연도 중 2사업연도에 자기자본의 100분의 50을 초과하는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법차손)이발생할 경우 관리종목에 지정될 수 있다.

에이치앤비디자인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연결기준 반기 법차손은 약 109억 원으로, 자기자본(87억 원) 대비 125.1%에 달했다. 2020년 이미 약146억 원의 법차손을 기록하며 자기자본 대비 50%를 넘겨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으나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자기자본이 증가하면 2사업연도 연속 법차손 발생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에이치앤비디자인은 11월 29일부터 30일까지 구주주를 대상으로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며, 일반공모는 12월 2~3일이다. 유상증자로 조달될 자금 448억 원 중 200억 원은 시설자금, 248억 원은 운영자금으로 투입하고, 건강기능식품 연구 개발과 마케팅 강화 등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낼계획이다.

에이치앤비디자인은 지난 8월 97억 원 규모의 건강기능식품 제조 및 판매업체 아리바이오에이치앤비를 인수했고, 최근 NK세포 치료제를 개발한 '포에버엔케이'를 인수해 면역 진단 및 면역 관련 신약 개발 시장에도 진출했다.

에이치앤비디자인은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신규 투자 및 사업 확장을 할 예정"이라며 "관리종목 지정에 대한 우려를 낮추고, 주주가치를 제고해 꾸준한 성장세로 주주 친화 경영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일봉차트>

기사에는 지난해 이미 관리종목 지정우려가 제기 되었다고 하는데 이상하게도 20년 12월~ 21영 7월까지 주가가 우상향 하였다. 관련하여 추가로 기사를 검색해 보았다.

<과거 관련 기사내용 요약>
디자인은 40억원 규모 3자배정 유상증자를 6월 9일 공시함.
전체 물량은 '살루타리스1호투자조합'이 소화하며 1년간 보호예수(재무안정화 목적으로 보임)

2012년 설립된 디자인은 스마트 기기 브랜드인 '코끼리(KOKIRI)'를 앞세워 보조배터리 시장에서 점유율 15%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상장 이후 실적은 적자로 돌아섰다.

지난해 2월 실적 부진 속에 코로나19 사태가 터지자 마스크 유통 사업을 시작했다.
6월에는 50억원 가량을 투자해 마스크 생산장비를 갖추고 제조 사업까지 확장했다.
하지만 지난달 서호메디코, 비앤제이인터내셔널과 체결했던 227억원, 32억원 규모의 공급 계약이 잇따라 해지되었다.

수익 창출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재무구조는 꾸준히 악화됐다. 자칫하면 자본잠식에 빠질 수도 있다.

<정리>
결론적으로 상장이후 지속적으로 영업손실이 나고 있으며 이를 단기적으로 모면하기 위해 유상증자를 계획함.
또한 재무구조 안정화를 위한 유상증자 발표가 처음이 아님.
지난 21년8월 이후 지속적으로 주가가 하락하였지만 그 이전의 주가상승이 납득하기 어렵고, 실적개선이 아닌 유상증자로 인한 관리종목 우려 해소이므로 그닥 좋아 보이지 않음.

나는 이 종목을 안건드리려 한다.

한가지 의문점 -> 기사에는 21년 6월9일 유상증자를 공시했다고 하는데 다트에서 확인이 안됨.
또한 차트에도 유상증자 표시가 없다. 아마도 유상증자를 하지 않은 것으로 보임.
일전에 유상증자한 대한항공의 경우 차트에도 표시가 되는데 이 종목은 표시가 되지 않기 때문임.
이번 발표도 과연 실제로 이루어 질지...... 물론 관리종목을 피하기 위해 피치 못해 할거같긴하다.

<비교 - 대한항공 차트>

'종목분석 > 상승종목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817 상승종목  (0) 2022.08.17
에이스토리- 우영우 힘받아 연속 상승세  (0) 2022.07.11
천연가스 가격 상승  (0) 2022.01.04

21.10.22 금요일 상한가 기록한 휴마시스에 대해 알아보자

240일선으로 삼각수렴하던 주가가 지난주 금요일 상한가로 급등했다.

휴마시스 일봉차트

이유는 셀트리온과의 진단키트 공급계약 때문.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02264296

 

휴마시스, 셀트리온과 1295억 규모 항원진단키트 공급 계약 [주목 e공시]

휴마시스, 셀트리온과 1295억 규모 항원진단키트 공급 계약 [주목 e공시], 신민경 기자, 증권

www.hankyung.com

 

이에 대한 공시를 찾아보았다.

계약규모 1,295억으로 기사에도 나와있듯이 작년 매출액 대비 283.27%에 해당하는 엄청난 규모이다.

주목할 점은 계약 수주일이 10월 21일이고 종료일이 12월이란 것.

올해 안에 수익이 가득될 거라는 점.

 

대략적으로 계산해보자

발행주식수 약 34,224,000

최근 종가 17,000

전일 종가 13,100

a. 시총 증가액 = 34,224,000 * (17,000 - 13,100) = 1,334.7억

b. 수주 계약액 = 1,295억

a>b 로 이미 주가 증가액에 하루만에 반영이 되었다.

 

일단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이고 이후 다른 추가계약이 성사될 수 있으니 더 상승 될 여지가 있어보인다. (관종)

 

추가로 이번에 알게 된 사실

상한가 도달한 시각 : 14시 28분

직전 일분봉 : 13시 47분 

사이에 30분 시간 갭이 왜 발생했는지 궁금했는데

이런 이슈가 될 단일 공급계약을 공시하면서 30분 거래정지 공시도 나왔다.

공시로 인해 급하게 과열 될 것을 막으려고 한 듯하다.

공시 확인하고 바로 진입은 현실상 불가능한 전략으로 보임.

 

과연 내일은 어떻게 주가가 그려질까.

 

2021년 단일판매.공급계약체결 공시 정리

공급계약 공시일자 표시(주황선)한 차트

공급계약 공시후 떨어지거나 지지부진한 경우도 있어서 공급계약 공시와 정비례하지는 않는 걸로 보인다.

다만 이번에 상한가까지 간 이유는 그 규모가 이전에 공시했던 금액들에 비해 뚜렷이 높아서 인 걸로 판단된다.

 

이로써 내일 확실히 오를것이라는 확신은 더 희미해졌다.

뉴스가 어떻게 나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 같음.

오랜만에 블로그 글을 쓰려고 보니 글씨체 가독성이 떨어진다고 느껴져 폰트를 변경해봤습니다.

방법을 까먹어서 찾아보니 왓에버 스킨이랑 CSS가 달라서 한참 헤매었네요.

 

가장 먼저 사용할 폰트를 찾아서 CSS에 넣어줘야합니다.

저는 눈누 무료 폰트 사이트를 이용하였고, 고운바탕체가 깔끔하고 예뻐서 사용하였습니다.

 

아래 링크 참고

https://noonnu.cc/font_page/733

 

눈누 - 상업용 무료한글폰트 사이트

고운바탕Regular - 류양희

noonnu.cc

 

"웹폰트로 사용" 아래칸 글씨를 CSS 상단에 복붙해 주세요.

 

<전체 글씨체 및 카테고리 글씨크기변경>

CSS에 들어가셔서 textarea 검색하시면 위 사진과 비슷한 문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font-size가 글자 크기이므로 15이 숫자를 편의대로 변경하시면 되고,

font-family가 글씨체 입니다.

주황색 부분이 글씨체 이름이며 각자 사용을 원하시는 글씨체를 제일 앞에 적어주시면 되요.

 

<본문 글씨 크기 변경>

본문의 글씨 크기를 변경하려면 entry를 검색하셔서 위에 18부분 숫자를 수정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

제가 사용하는 HTS 키움증권 영웅문 기준 정보입니다.

0654 인포스탁섹터종목 화면에서 종목명 또는 종목코드를 검색하면 알 수 있습니다.

예시로 오늘 상한가 종목인 인트로메딕(종목코드 150840)를 검색한 결과 의료기기로 분류도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의할 점은 꼭 종목코드를 표시하신 후 검색하셔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