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 및 테마분석/강세토픽

[강세 토픽] MLCC 테마, 삼성전기 +6.22%, 삼화콘덴서 +3.83%(입력 2021.12.24 09:54)

닐니리날라리 2022. 1. 11. 20:23

https://biz.chosun.com/stock/c-biz_bot/2021/12/24/U4BSZYWWMGVLEVFYNCSA3YEQ4A/

 

[강세 토픽] MLCC 테마, 삼성전기 +6.22%, 삼화콘덴서 +3.83%

강세 토픽 MLCC 테마, 삼성전기 +6.22%, 삼화콘덴서 +3.83%

biz.chosun.com

[MLCC]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34% 상승세이다. 삼성전기(181,500원 ▲ 500 0.28%) +6.22%, 삼화콘덴서(69,600원 ▲ 12,300 21.47%) +3.83%, 아모텍(27,000원 ▲ 300 1.12%) +2.23%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반도체에 전기 일정하게 공급..휴대폰 등 전자제품에 탑재✔ 5G 스마트폰·전기차 등 시장 확장으로 MLCC 수요↑ ✔ 2025년까지 글로벌 MLCC 시장 연평균 10% 성장 전망
MLCC(적층세라믹콘덴서)는 전자제품 회로에 전류가 일정하게 흐르도록 제어하는 핵심부품으로 '전자산업의 쌀'이라고 불림. 휴대폰, LCD TV, 컴퓨터 등 전자제품에 필수적으로 탑재.
MLCC는 스마트폰에 집약적으로 사용. MLCC는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수많은 고성능 반도체 칩을 원활하게 가동해주면서 큰 부피를 차지 않고 효율이 높기 때문.
국내 세라믹콘덴서 월별 수출증량은 2020년 하반기부터 직전 호황기인 2018년을 초과. 2019년 지속된 재고조정 속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팬트업 수요로 14개월('20년 5월~'21년 6월) 동안 전년동월대비 증가율 평균이 46%에 달했음.
하지만 2021년 하반기부터 전년동월대비 증가율이 축소되면서 MLCC 피크아웃에 대한 우려 확대. 그럼에도 절대 수요량의 확대와 믹스 개선 효과를 감안하면 과거의 피크아웃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출처: 하나금융투자).
즉, 5G 스마트폰, 전기차 시장 등이 성장하면서 MLCC의 활용도가 높아져 MLCC의 절대 수요량이 증가할 것이라는 주장.
실제로 가정용 콘솔 게임기에서부터 가전제품, 5G 스마트폰 등 산업에서 MLCC 필요. 특히 5G 이동통신 스마트폰 보급 확대는 MLCC 업계에 긍정적. 전력소모가 늘어나고 카메라 기능이 고도화하고 있는 5G 스마트폰 특성상 기존 스마트폰 대비 약 200개의 MLCC가 늘어나기 때문.
아울러 자율주행 자동차·전기자동차 등 차세대 이동수단에 MLCC가 주요 부품으로 자리잡음. 최신형 스마트폰 한 대에 통상 약 1000개의 MLCC가 사용되지만, 자율주행차나 전기자동차에는 최소 1만5000개에서 2만개 이상의 MLCC가 사용. 기술과 성능이 고도화되면 될수록 해당 제품이 필요로 하는 MLCC의 개수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
전장용 MLCC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전체 MLCC의 시장규모 점점 커질 것으로 기대. 모건스탠리 리서치는 2019년 99억7000만달러(약 11조9200억원) 수준이던 글로벌 MLCC 시장이 2025년 157억5000만달러(약 18조8300억원) 규모로 연평균 10% 정도 성장한다고 전망.